토스 간단하게 실비 보험 청구 하는 방법
실비보험을 통해서 아파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고, 약국에 가서 약을 타면서 발생한 진료비와 약제비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토스 앱을 이용해 실비 보험 청구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에 잘 활용해서 소액이라도 받을 수 있는 돈은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토스” 앱 다운받기
본인의 핸드폰에 ‘토스” 앱이 깔려있지 않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핸드폰에 설치하고 가입한 후에 이어서 진행하면 됩니다.
안드로이드
▶ 다운받기 클릭 ◀
아이폰
▶ 다운받기 클릭 ◀
한눈에 보는 실비 보험 청구 프로세스
병원 및 약국을 다녀오고 진료비 영수증과 약제비 영수증이 있는 상황이라면 아래 절차대로 진행하시면 다음 날 바로 보험금을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 토스 앱에 들어간다.
- 전체 메뉴 – “병원비” 검색 – “병원비 돌려받기” 클릭
- “내 병원비 돌려받기” 클릭
서류 “받았어요” 클릭
신청할 보험사 선택
청구인 확인하고, “네” 클릭
주민번호 입력하기
병원 입원 여부 클릭
병원에 방문한 이유 작성
아프기 시작한 날 or 사고 발생일 입력 - 서류 첨부
- 환급 받을 계좌 확인
- 신청 정보 확인
- 동의
- 끝
8번의 과정만 진행하시면 쉽게 실비 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
차근차근 따라하는 실비 보험 청구 방법
위에 작성한 플로우를 보고도 어렵게 느껴진다면, 아래 그림을 보면서 차근차근 따라하다보면 실비 보험 청구 쉽게 할 수 있습니다.
1. 토스 앱에 들어가서 “내 병원비 돌려받기” 버튼을 누른다.
2. 서류 “받았어요”를 누른다.
어떤 보험사에 신청할 건지 선택하고, 청구자 이름을 확인하고 “네”를 누른다.
3. 주민번호를 입력한다.
병원 입원여부를 선택하고 병원에 방문한 이유를 작성한다.
4. 아프기 시작한 날 혹은 사고 발생일을 기입한다.
병원 서류 혹은 약국 서류를 첨부한다.
보험료를 환급 받을 계좌를 선택한다.
5. 신청정보를 마지막으로 확인한 후, 동의 절차를 마치면 실비 보험 환급 신청 끝!
실비보험이란?
“실손의료보험”으로도 불리는 실비보험이란,
가입자가 질병 혹은 상해의 이유로 병원과 약국에 간 경우 진료비와 약제비를 자기부담금 공제 후 환급해주는 상품을 의미합니다.
진료비의 실비 청구가 가능한 금액은 “본인부담금”+”비급여 항목”입니다.
자기부담금은 최초 보험을 설계할 때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실비 보험 공제 금액
통원 치료의 경우,
- 의원급 병원: 10,000원 공제
- 의원급이 아닌 병원: 15,000원 공제
- 상급 종합 병원: 20,000원 공제
- 약국: 건당 8,000원 공제
공제의 의미는,
만약 의원급 병원에서 통원 치료받은 병원비가 23,000원이 나온 경우 10,000원을 제한 13,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실비 보험 청구 신청 서류
미성년 자녀 대리 청구의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 아래 해당하는 서류
입원치료를 한 경우
입원치료를 한 경우에는 실비 보험 청구를 위한 서류가 아래와 같습니다.
입퇴원 확인서 혹은 진단서의 경우 발급받을 때 비용(약 2만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진단서 혹은 입퇴원 확인서 (둘 중에 하나만)
-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 진료비 세부내역서
- 약제비 영수증(약 처방을 받은 경우)
통원치료를 한 경우
통원치료를 한 경우에는 실비 보험 청구를 위한 서류가 아래와 같습니다. 영수증의 경우에는 카드 영수증이 아닌 병원 및 약국에서 발급한 영수증을 말합니다.
- 진료비 영수증
- 약제비 영수증
- 통원확인서 or 진단서 or 처방전(셋 중에 하나만)
(병원비가 10만원이 넘는 경우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영수증의 경우에는 카드 계산하고 찍 뜯어 받는 영수증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병원이나 약국에 보험 청구용으로 영수증이 필요하다고 말하면 됩니다.
병원 및 약국 사람들은 모두 베테랑이다 보니 ‘척’하게 말해도’ 착’하게 알아듣고 처리해 줍니다.
특히, 통원확인서, 진단서 등의 경우에는 발급 요청하면 비용(약 2만원)이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셔야 합니다.
실비 보험 청구 가능한 기간
실비 보험 청구가 가능한 기간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보통 대다수의 사람들은 입원 치료가 끝나거나 통원 치료가 끝난 직후 며칠 이내에 청구를 해야 환급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보험금의 청구 소멸시효는 무려 3년입니다.
그래서 청구하고자 하는 금액이 소액인 경우에는 번거롭게 건바이건으로 처리하지 말고, 모아뒀다가 3년이 되기 전 한번에 처리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다만, 서류 관리를 잘 해야겠죠.
신청 후 보험금 지급까지 걸리는 시간
빠르면 제출하고 만 하루 내에 받을 수 있고, 통상 3일 이내로는 대부분 다 받을 수 있습니다.
- 생명보험사의 경우에는 업무일로 최대 10일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손해보험사의 경우에는 업무일로 최대 7일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실비 청구의 경우에는 통상 3일이 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생명보험사나 손해보험사의 경우에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수 있어 7~10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및 약제비 예시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예시
약제비 계산서, 영수증 예시
토스로 실비 보험 청구 가능한 보험사 목록
손해보험
- NH손해보험, 메리츠화재, 한화손해
- DB손해, KB손해, 현대해상
- 에이스손해, MG손해, 롯데손해
- 흥국화재, AIG손해, 우체국보험
- 삼성화재, The-K손해, AXA손해
생명보험
- 삼성생명, 라이나생명, 동양생명
- 신한생명, DB생명, 하나생명
- 우체국보험, 교보생명, 한화생명
- NH농협생명, 메트라이프생명, 미래에셋생명
- 처브라이프생명, 푸르덴셀생명, 흥국생명
- ABL생명, DGB생명, 오렌지라이프
- KB생명, KDB생명, AIA생명
- 푸본현대생명, 교보라이프플래닛
청구 가능 항목과 불가능 항목
불가능
- 간병비, 예방접종비, 의약외품
- 일반 건강검진비(but 추가 검사비는 청구 가능)
- 외모를 가꾸기 위한 비용(점 빼기, 필러 등)
- 임신, 출산, 비만, 요실금 관련
의외로 가능
- 한방, 항문질환, 치과(신경치료, 스케일링) 치료
원칙적으로 급여의료비에 대해서는 청구 가능하기 때문에, 한의원이나 치과에서 치료를 받았다면 진료비 결제하실 때 보험 청구가 가능한지 물어보면 됩니다.